딱딱하니까 꼭꼭 씹어먹자 HSK문법(고급)_“동사②_이합동사(이합사)”
안녕하세요 아이린 쌤입니다.
다른 나라의 언어를 공부할 때면
항상 우리의 발목을 잡는 것이 문법입니다.
꼭 배워야 하지만 재미가 없어서 중도 포기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꼭꼭 씹어서 소화 시켜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동사-이합사”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 요점정리
1) 이합동사는
(1) ‘동사+명사’의 구조(동목구조)를 가진 단어
(2) 2음절 동사 중 동목구조의 의미를 가진 단어
를 말합니다.
2) 이합동사의 특징
(1) 이합동사 뒤에 목적어를 붙이지 않습니다.(관련문제를 보고 싶다면)
道歉老师(X) -> 向老师道歉(O)선생님께 사과하다
让座老人(X) -> 给老人让座(O)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다
(2) 이합동사를 중첩할 때는AAB식으로 합니다.
吹吹牛(허풍을 떨다)、聊聊天(이야기를 나누다)
(3) 동태조사(了、着、过)와 보어 등은 이합동사 단어 사이에 둡니다.
선생님께서 두 시간 동안 보충수업을 했다.
老师补课了两个小时。(X)
老师补了两个小时课。(O)
졸업 후 그들은 계속 만난 적이 없다.
毕业后他们一直没见面过。(X)
毕业后他们一直没见过面。(O)
3) 자주 사용하는 이합동사
(1) 전치사 “给”와 잘 쓰이는 이합동사
把关(책임을 지다)、帮忙(일을 돕다)、丢脸(체면을 잃다)、
放假(방학하다)、讲课(강의하다)、敬酒(삼가 술을 올리다)、
签名(사인하다)、让路(양보하다)、送礼(선물을 주다)、
投稿(투고하다)
(2) 전치사 “跟”과 잘 쓰이는 이합동사
吵架(말다툼하다)、结婚(결혼하다)、谈话(이야기하다)、
散步(산책하다)、见面(만나다)、聊天(이야기하다)
(3) 전치사 “为”와 잘 쓰이는 이합동사
操心(마음을 쓰다)、担心(걱정하다)、鼓掌(손뼉을 치다)、
喝彩(갈채하다)、加油(힘을 내다)、捐款(돈을 기부하다)
(4) 전치사 “向”과 잘 쓰이는 이합동사
报喜(희소식을 전하다)、道歉(사과하다)、道谢(감사의 말을 전하다)、
赔礼(사죄하다)、请假(휴가,결성 등을 신청하다)、求婚(청혼하다)、
讨价(값을 흥정하다)、问好(안부를 묻다)、致谢(감사의 뜻을 나타내다)
(5) 기타 이합동사(일반적으로 전치사와 함께 쓰지 않는 이합동사)
报名(신청하다)、备课(수업을 준비하다)、闭幕(폐막하다)、
插嘴(말참견하다)、吃惊(놀라다)、出差(출장 가다)、
辞职(사직하다)、闯祸(사고를 일으키다)、打工(아르바이트하다)、
打猎(사냥하다)、发财(큰돈을 벌다)、犯法(법을 위반하다)、
费劲(힘을 들이다)、挂号(등록하다)、兼职(겸직하다)、
请客(접대하다)、上当(속다)、生气(화내다)、
开幕(개막하다)、迷路(길을 잃다)、受罪(고생하다, 벌을 받다)、
说话(말하다)、用力(힘을 내다)
'HSK정복_읽어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딱딱하니까 꼭꼭 씹어먹자 HSK문법(고급)_“동사③_동사중첩” (0) | 2017.05.08 |
---|---|
아이린 쌤의 HSK배경지식_“새옹지마(塞翁失马)” (0) | 2017.05.04 |
딱딱하니까 꼭꼭 씹어먹자 HSK문법(고급)_“동사①_기본적인 특징” (0) | 2017.04.24 |
아이린 쌤의 HSK배경지식_HSK5 독해 기출 “공손의(公孙仪)” (0) | 2017.04.18 |
딱딱하니까 꼭꼭 씹어먹자 HSK문법(고급)_“대명사” (0) | 2017.04.17 |